최근에 거실에서 편하게 소파에 앉아 게임도 하고 문서 작업도 할겸 노트북 한 대를 구입했습니다.
게임을 그리 고사양은 안하는 지라 적당하게 인텔에 4060 조합을 구했는데.
5060도 눈이 가긴 했으나 일부 32비트 게임에서 프레임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어서 어쩔수 없이 구형 선택.
(32비트 CUDA와 OpenCL 런타임 지원을 제거함으로서 생긴 문제)
시피유는 라이젠과 고민을 했는데 14세대라서 이번에야 말로 노트북도 라이젠으로 갈까 했다가 14세대는 노트북쪽은 문제발생이 가능성 없다 라는 인텔의 말만 맏고 이쪽으로 선택.(14650hx)
그래서 구입한 것이 니트로V 16 ANV16-71-786G 입니다.
가성비로는 꽤 평이 좋더군요.
화면도 16인치인데 2560x1600이라 저같이 한글문서작업이 많은 사람에게 좋고.
주사율도 180hz라 이정도면 개인적으로 과분한데다 키보드도 넘버패드가 모두 있어서 역시 문서작업에 유리(개인취향)
다만 지싱크 지원은 설명에 있었다가 나중에 지원안되는 것이 밝혀져 지금은 빠져 있더군요.
딱히 이 기능을 써본적도 없는지라 있거나 말거나로 패스
단점은 포트구성인데.
usb만 보자면 A형이 좌우로 1개씩, C형(썬더볼트 겸용)이 후면에 1개, 이렇게 딱 3개...
덕분에 허브를 달아주긴 했습니다만 2개만 더 달아주지...
배송 이후에 또 실망한점은
공홈에도 무선칩은 인텔 AX201로 되어 있던데 윈도우 다 설치하고 보니 미디어텍 MT7921 ...
원가절감을 .... 이놈들이!
처음에는 1테라 버전(판매처에서 SSD를 교체해서 파는 것)을 골랐기에 설마 인텔칩을 미디어텍으로 바꿔놨나 의심도 들었습니다.
201이 문제가 좀 있다곤 알려져 있어도 미디어텍보단 나으니까.
하지만 공홈 드라이버를 보니 미디어텍도 포함되어 있더군요.
걍 원가 절감...
그리고 SSD를 1테라 버전으로 샀기에 이건 판매처에서 SSD를 교체해주는 (기본 512gb) 형태라서 이것도 잘 살펴보았습니다만
이메이션에서 나온 QLC 1테라, 디램리스...
본래 달린게 뭔진 모르겠으나 512기가 모델과 1테라 모델의 가격차가 12만원정도 되는데 이거면 TLC에 디램달린 걸 달아줘도 충분한 가격인데도 이딴걸...
차라리 처음부터 512기가 모델을 사서 내가 교체할껄 후회를 하면서 어쩔 수 없이 무선칩과 SSD를 추가구매해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그러고보니 램도 64기가 짜리로 샀는데 이것도 삼성이나 하이닉스도 아니고 A-DATA 제조이고 칩은 마이크론꺼.
기본모델에서 가격차를 생각하면 이것 또한 공임비를 몇만원 챙겨가나 싶지만 이 노트북이 뚜껑따는게 쉬워서 이딴걸로 공임비를 추가로?
의문점만 생깁니다. 의문점도 아니죠. 사실 기만행위가 잔뜩 가미된 장사술로 봅니다.
*이 제품 윈도우 설치시에 SSD를 못 찾으므로 반드시 에이서 공홈에서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RST) 를 받아서 USB에 압축을 풀어둔 다음 윈도우 설치시 하드나 SSD가 없다고 할때 드라이버 설치 탭에 가서 지정해주면 됩니다.
*AX201은 윈도우11에서 자동으로 잡는 것 같은데 미디어텍은 윈도우 설치 직후에 또 드라이버를 별도 잡아줘야 해서 역시 공홈에서 다운 후에 USB에 압축 풀어서 담아놓길 권장.
대충 생긴 모습


뜯습니다.
하단에 나사풀고 틈새로 신용카드로 좀 긁어주니 잘 열리는 편.
다만 워런티 스티커로 나사구멍하나를 막아두었기에 이걸 훼손하면 AS 안될까 싶어서 드라이기로 30초 쏴준 후.
플라스틱 스크래퍼로 긁어서 원형 잘 보존한 다음 다른 스티커용지에 붙여두었습니다. 다시 붙여야 하니까요.
여하튼
배터리 전력은 57wh... 게이밍노트북이기는 하니 거치형태로 쓸테니 상관말라는 의미인가... 휴대용도로 쓰기에는 후달리는 전력이빈다.
여하튼 아래 사진은 일단 무선칩은 교체한 상태입니다.
교체시 반드시 배터리쪽은 연결을 빼주시고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진에서 좌측이 미디어텍, 우측이 교체한 인텔 AX211
AX201이 원가절감전의 것이지만 비싸지도 않으니 211로 업그레이드
단 니트로V 16에서 라이젠모델은 211로 하면 안되고 210으로 교체해야 함.
*AX211은 보드와 시피유가 cnvio2 기술을 지원해야 함(인텔 기술)


아래는 SSD...
1번 자리에서 Q971을 뽑은 다음 P31을 꽂고, 2번자리에 데이터 저장용도로 Q971을 꽂아서 재활용
*벤치만 보자면 다운그레이드인데 QLC라는 점과 디램리스라는 측면에서는 업그레이드
*Q971을 왜 달았나 하는 생각이 들긴 드는것이 이 SSD가 발열은 적더군요. PCIE 4.0인데도 3.0인 P31과 발열이 비슷(아이들이 45~52, 100기가 읽고쓰기 반복하면 58~62 정도)
*발열테스트 - 노트북에 SSD 방열판과 서멀패드가 뒷판에 미리 설치되어 있습니다. 윗 내용은 뒷판 닫고 벤치 돌렸을때의 결과


거의 다 완료하고 뚜껑닫기 전.

이후 잘 되는군요.
다만 윈도우11 24h2가 비트로커 기본 활성화라서 SSD 마이그레이션 이후 복원 키를 치라고 해서 조금 헤맸지만 일단 그것도 잘 해결
*폰으로 마소 계정에 로그인 한다음 해독키를 알아서 치긴 했는데 이런 귀찮은걸 안 거치려면 비트로커는 비활성화 해두고 마이그레이션 하시기 바랍니다.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장치암호화 - 장치암호화 끄기)
이제 속편하게 거실에서 컴질을....
'컴퓨터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LL P1917S 모니터 펌웨어 모딩 후 간단 24KHz 테스트 (1) | 2024.12.17 |
---|---|
DELL P1917S 모니터 15KHz/24Khz 펌웨어 모딩 (0) | 2024.12.16 |
ThrottleBlaster - 시피유 클럭 다운장치(펜티엄MMX, 펜티엄2~3, 애슬론XP 등),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이용한 장치 (1) | 2024.12.10 |
DELL UP3017 인풋렉 제테스트 - 결과 : 이상한 모니터 (0) | 2024.07.07 |
DELL UP3017 모니터 공장모드에서 사용시간 확인하기 (0) | 2024.07.07 |
주연테크 V27FX 모니터 구입 및 15khz입력 테스트 (2) | 2024.07.05 |
DELL 울트라샤프 UP3017 30인치 모니터 구입과 인풋렉 테스트 (0) | 2024.07.03 |
무선 헤드셋(제닉스 타이탄 WH7) 사용기(플스1~플스5, 스위치 등 지원) (5) | 2024.04.26 |
최근 구매 및 구성 Mister FPGA와 캡쳐카드(MAGEWELL Pro Capture AIO) 및 버린 브라운관 티비 2대... (2) | 2022.11.05 |
미스터에 납땜 자신이 없어 오디오인터페이스를 달아주고, 브라운관으로 다운스케일러 이용해 유튜브 본 이야기 (0) | 2022.11.05 |
댓글